본문 바로가기
정보

자기계발을 계속할수록 자기 계발이 되지 않는 이유

by woongyi 2024. 6. 6.
728x90
728x170
SMALL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은 자기 계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성공적인 삶을 살기 위해 책을 읽고, 강연을 듣고,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을 발전시키려 합니다. 그러나 유 교수는 이러한 자기 계발이 오히려 사람들을 더 조급하게 만들고, 자기 자신을 파괴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유 교수의 강연 내용을 바탕으로, 왜 자기 계발이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는지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남의 이야기에서 벗어나라

유 교수는 현대인들이 하루 종일 남의 이야기를 듣고 이야기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비한다고 말합니다. SNS에서 다른 사람들의 성공 스토리를 읽으며, 그들의 삶과 비교하는 시간이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비교는 우리의 자아를 상실하게 만들고, 극단적인 경우 자아를 파괴하게까지 만듭니다. 남의 이야기에 집중하는 시간만큼, 우리는 자신의 삶을 직접 경험하고 발전시키는 시간을 잃고 있는 것입니다.

2. 감탄사 연발 증후군

자기 계발서를 읽으며 우리는 종종 감탄사를 연발합니다. 책 속의 통찰력 있는 문구를 만나면, 그 순간 우리는 대단한 깨달음을 얻은 것처럼 느끼고 감탄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감탄은 잠깐일 뿐, 실제로 우리의 행동을 변화시키지 못합니다. 다짐을 하고 결의를 다져도, 그 다짐이 길어질수록 실천하기가 더 어려워집니다. 결국, 도파민이 급격히 떨어지며 다짐은 사라지고, 우리는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3. 성공 비법의 함정

자기 계발서에는 다양한 성공 비법들이 담겨 있습니다. 그러나 유 교수는 다른 사람의 성공 비법이 우리에게 그대로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각자의 성공은 고유한 맥락과 문맥에서 이루어진 것입니다. 다른 사람의 매뉴얼을 그대로 따라한다고 해서 우리가 성공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다른 사람의 성공을 그대로 따라하려다 보면 자신감을 잃고, 성공에서 멀어질 수 있습니다.

4. 평균 올려치기의 위험성

SNS나 자기 계발서에서 보이는 화려한 이미지들은 우리의 일상을 더욱 비참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우리는 그들의 삶이 평균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우리의 일상은 그렇게 화려하지 않습니다. 비교할수록 우리는 비참해지고, 자아는 더욱 상처받게 됩니다. 인사이트는 단순히 생각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바깥으로 나가 새로운 경험을 통해 얻어지는 것입니다.

5. 정보와 지식의 차이

유 교수는 정보와 지식의 차이에 대해 강조합니다. 정보는 순간적이고 충동적으로 소비되는 반면, 지식은 깊이 있는 사색과 연속적인 경험을 통해 얻어집니다. 현대인들은 짧은 정보에 익숙해져, 긴 사유와 깊이 있는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이 퇴화되고 있습니다. 영상은 빠르게 소비되지만, 책은 파고들어야만 의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영상을 보며 중요한 메시지를 발견하면 멈춰서 생각해보고, 책을 통해 추가적인 지식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6. 성과 목표와 성장

많은 사람들이 자기 계발을 시작할 때 성과 목표를 정합니다. 그러나 목표를 달성한 후에도 또 다른 목표가 주어지면서, 우리는 결과 중심의 사고를 하게 됩니다. 성과가 성장을 대체하면서, 목표 달성의 과정에서 우리는 얼마나 성장했는지에 대해 깊이 생각하지 않습니다. 결과적으로, 성과에 집착하게 되고, 자기 자신을 파괴하게 됩니다.

7. 욕구와 욕망의 혼동

유 교수는 욕구와 욕망의 차이에 대해 설명합니다. 욕구는 기본적인 필요를 충족시키는 것이지만, 욕망은 더 나은 것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자기 계발에서도 우리는 더 높은 성과를 달성하고 싶은 욕망을 갖게 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욕망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이 없다면, 우리는 그 욕망을 실현할 수 없습니다. 욕망은 새로운 미지의 세계로 이끌어가는 창조적인 희망이지만, 능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오히려 좌절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8. 성공의 맥락

성공 스토리를 읽을 때, 우리는 그 사람이 어떤 상황에서 성공했는지를 이해해야 합니다. 성공은 단순히 결과로만 평가될 수 없으며, 그 사람이 성공할 수밖에 없었던 맥락과 배경이 있어야 합니다. 유교수는 성공을 일반화하여 매뉴얼로 제시하는 것이 위험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성공은 각자의 고유한 이야기이며, 이를 일반화하는 것은 오류를 범할 수 있습니다.

9. 책을 깊이 읽기

책을 읽을 때, 우리는 저자의 문제의식을 이해하고, 텍스트의 핵심 메시지를 파악하며, 책을 읽은 자신을 반추해야 합니다. 단순히 많은 책을 읽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깊이 있게 읽고,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책을 통해 얻은 인사이트를 직접 실천해보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우리는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

10. 실천의 중요성

유 교수는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아무리 좋은 인사이트를 얻어도, 직접 실천해보지 않으면 그것은 우리의 것이 될 수 없습니다. 다른 사람의 성공 스토리에 휘둘리지 말고, 자신의 경험을 통해 작은 성공을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작은 성공들이 모여 우리의 이야기가 되고, 우리는 남의 이야기에 휩쓸리지 않고 세상을 뒤흔드는 주인공이 될 수 있습니다.

자기 계발은 단순히 책을 읽고 정보를 얻는 것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살아가고, 남의 이야기에 휘둘리지 않으며, 깊이 있는 사고와 실천을 통해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 교수의 강연을 통해, 우리는 자기 계발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기고,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지혜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