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자녀를 위해 한 행동이 오히려 자녀를 망칠 수 있는 이유

by woongyi 2024. 11. 3.
728x90
728x170
SMALL

부모들은 자녀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자녀가 잘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많은 노력을 기울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마음이 때로는 자녀의 자립과 성장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종종 간과하곤 합니다.

 

심리학 교수는 이를 지적하며 부모의 역할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아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모가 자녀에게 전해야 하는 올바른 메시지와 피해야 할 태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부모의 사랑은 무조건적이어야 한다

부모가 자녀에게 전해야 할 가장 중요한 메시지 중 하나는 '무조건적인 사랑'입니다. 자녀가 무엇을 성취했기 때문에 사랑받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사랑받을 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주어야 합니다. 하지만 많은 부모가 "너 이거 못 하면 어떻게 살아갈래?"라는 식의 조건부 사랑을 전하기도 합니다.

 

이런 말은 자녀에게 사랑을 받기 위해서는 일정한 성취나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는 압박감을 심어줄 수 있습니다. 결국 자녀는 부모의 기대를 채우지 못하면 자신이 가치 없는 존재라고 느끼게 될 위험이 있습니다.

2. 인간의 가치는 비교와 성취로 결정되지 않는다

우리 사회에서는 자녀가 좋은 대학에 가고, 높은 성적을 받는 것이 성공의 척도처럼 여겨집니다. 부모는 자녀가 더 나은 성취를 이루도록 하기 위해 끊임없이 비교하고, 자녀에게 높은 목표를 강요하곤 합니다. 하지만 지나영 교수는 인간의 가치는 성취나 비교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고 강조합니다.

 

자녀가 존재 그 자체로 존중받고 가치 있다고 느끼도록 해주는 것이 부모의 중요한 역할입니다. 이는 자녀가 평생 다른 사람의 시선과 기대에 맞춰 사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힘을 기르게 해줍니다.

3. 자립과 독립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미국과 한국 부모들의 가장 큰 차이점 중 하나는 자녀를 독립적인 인간으로 키우는 데 대한 접근 방식입니다. 미국에서는 자녀가 어릴 때부터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독립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훈련합니다.

 

반면 한국에서는 자녀의 모든 것을 부모가 챙겨주고, 자녀가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보호하려는 경향이 강합니다. 물론 자녀가 어려움을 겪지 않게 하고 싶은 마음은 이해되지만, 이는 오히려 자녀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자녀에게는 스스로 경험하고, 실패를 통해 배우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4. 자녀의 자율성을 존중하라

부모는 자녀의 자율성을 존중해야 합니다. 지나영 교수는 "다 너를 위해서 하는 말이야"라는 말이 자칫 자녀의 자율성을 억압하고, 자녀에게 부모의 뜻을 강요하는 가스라이팅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자녀가 스스로 선택하고, 자신의 결정을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부모의 역할입니다. 자녀에게 공부를 강요하거나, 부모가 원하는 길을 강요하기보다는 자녀가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그 선택을 존중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실패와 좌절의 경험도 필요하다

자녀가 실패하고 좌절하는 것을 막기 위해 모든 것을 대신 해주려는 부모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자녀에게 실패와 좌절의 경험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 경험을 통해 자녀는 문제 해결 능력과 회복 탄력성을 기를 수 있습니다.

 

지나영 교수는 자녀에게 좌절의 경험을 허락하고, 그 좌절에서 스스로 일어설 수 있는 힘을 길러주는 것이 부모의 역할이라고 말합니다. 자녀가 어려운 상황을 맞닥뜨렸을 때, 그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도록 격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 부모 자신도 행복해야 한다

부모는 자녀에게 삶의 본보기가 됩니다. 지나영 교수는 부모가 자녀에게 행복한 삶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자녀가 부모를 통해 삶의 의미와 가치를 배우기 때문입니다.

 

부모가 자신의 삶을 자녀에게 모두 바치고, 자신의 행복을 포기한 채 자녀만을 위해 산다면, 자녀는 삶의 목적을 자립과 독립이 아닌 누군가의 기대에 맞추는 것으로 여기게 될 수 있습니다. 부모 스스로 행복하고 자립적인 삶을 살아가는 것이 자녀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부모가 자녀를 사랑하는 마음은 변함없지만, 그 방식에 따라 자녀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지나영 교수의 말처럼, 자녀에게 무조건적인 사랑을 전하고, 자율성과 독립성을 길러주며, 실패와 좌절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진정한 부모의 역할입니다. 부모는 자녀가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안내자이자, 언제나 그 곁을 지켜주는 든든한 후원자가 되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