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모든 무선인터넷 서비스 이용자들이 데이터 요금 부담 없이 무선인터넷 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정책을 발표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에서 제공하는 무선인터넷 속도측정 앱을 통해 월 최대 50회까지 데이터 사용량 차감 없이 속도 측정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변화의 배경과 구체적인 내용, 그리고 그 의미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무선인터넷 속도측정 앱의 데이터 요금 면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4년 6월 20일, 모든 무선인터넷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NIA가 제공하는 무선인터넷 속도측정 앱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데이터 사용량 차감을 면제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무선인터넷 속도측정 앱의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조치로, 무선인터넷 서비스의 품질을 보다 쉽게 확인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되었다.
무선인터넷 속도측정 앱 이용 활성화를 위한 MOU 체결
지난 4월 3일, NIA는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에스케이텔레콤, 케이티, LG유플러스와 함께 ‘NIA 무선인터넷 속도측정 앱’의 데이터 차감 면제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 협약을 통해 통신품질 측정 데이터 차감 면제 방안, 품질 미흡지역 발굴 및 품질 개선 등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협의하고, 시스템 개선을 완료했다.
무선인터넷 속도측정 앱의 데이터 차감 면제
이제 모든 무선인터넷 서비스 이용자는 통신사와 관계없이 무선인터넷 속도측정 앱을 통해 월 최대 50회까지 데이터 사용량 차감 없이 속도 측정을 할 수 있다. 이는 이용자들이 데이터 요금에 대한 부담 없이 무선인터넷 서비스 품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다.
5G 및 LTE 서비스의 데이터 사용량
무선인터넷 속도 측정 시, 5G 서비스는 약 900MB, LTE 서비스는 약 150MB의 데이터가 사용된다. 따라서 데이터 사용량 차감 면제가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통신 품질 개선을 위한 데이터 제공
NIA는 이통 3사가 통신서비스 품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이용자의 측정 결과 중 하향 전송속도가 낮은 지역의 품질측정 정보를 통신사에 제공하기로 했다. 이러한 정보는 품질을 측정한 날짜와 시간, 상향·하향 전송속도, 지연시간 및 손실률, 단말 기종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다만,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제공되지 않는다.
위치정보 접근 권한 및 GPS 기능 활성화 권장
정확한 품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용자가 앱에 대해 위치정보 접근 권한을 허용하고, 단말의 위치서비스(GPS) 기능을 켠 상태에서 품질을 측정하는 것이 권장된다. 위치정보 접근 권한을 허용하지 않거나, GPS 기능을 끈 상태에서는 정확한 품질 정보를 제공하기 어려울 수 있다.
유·무선 인터넷 품질측정 이벤트
NIA는 7월부터 8월까지 두 달 동안 유·무선 인터넷 품질측정에 참여한 이용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경품을 추첨·제공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러한 이벤트를 통해 더 많은 이용자들이 품질 측정에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과기정통부의 기대 효과
과기정통부 통신정책관 이도규는 "이번 조치를 통해 데이터 부담 없이 무선인터넷 품질을 확인할 수 있고, 통신사는 품질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게 되어 일거양득의 효과를 볼 수 있다"며, "이를 계기로 향후 통신사의 품질 개선 투자가 대폭 확대되어 국민들께 더욱 향상된 통신서비스가 제공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무선인터넷 속도측정 앱의 다운로드
무선인터넷 속도측정 앱은 Android와 iOS를 모두 지원하며, 구글 플레이스토어, 애플 앱스토어, 원스토어 등에서 누구나 무료로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이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쉽게 무선인터넷 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통신 품질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무선인터넷 속도측정 앱의 데이터 차감 면제 정책은 이용자들에게 큰 혜택을 제공하며, 통신사에게는 품질 개선을 위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이러한 조치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무선인터넷 서비스의 품질을 쉽게 확인하고, 통신 서비스의 전반적인 품질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
문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신정책관 통신자원정책과(044-202-6669),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통신서비스팀(053-230-1728)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보험찾아줌을 통해 숨은보험금을 찾으세요 (0) | 2024.06.20 |
---|---|
간이역과 자전거를 활용한 새로운 관광열차 출시 (0) | 2024.06.20 |
폐암으로 가는 길 담뱃갑 경고 표기 12월부터 바뀐다 (0) | 2024.06.20 |
콘드로이친zs, 콘드로이틴, 콘도로이친 일본 영양제 관절 연골의 효능을 정확히 알고 건강을 챙기세요 (0) | 2024.06.19 |
2024 상반기 자동차세 납부 시작 납부 방법과 주의사항 안내 (0) | 2024.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