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지역 특성에 맞춘 스마트도시 조성... 천안·광명·태백·경산 선정

by woongyi 2024. 6. 24.
728x90
728x170
SMALL

정부가 지역 특성에 최적화된 스마트서비스를 통해 지속가능한 상생 도시를 조성하는 프로젝트를 본격화합니다. 국토교통부는 2024년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공모 결과, 거점형으로 충남 천안시, 강소형으로 경기 광명시, 강원 태백시, 경북 경산시를 선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은 지자체와 민간기업이 협력하여 기존 도시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획기적인 서비스를 개발·도입하는 사업입니다. 올해는 거점형과 강소형으로 나눠 공모가 진행되었으며, 이로 인해 각 도시가 보다 특화된 스마트 솔루션을 적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천안: 충청권 메가시티의 스마트 거점

천안시는 이번 선정으로 향후 3년간 국비 160억 원을 지원받게 됩니다. 천안은 충청권 메가시티를 견인할 스마트 거점으로 도약하기 위해 역세권 혁신지구, 스마트그린산업단지, 캠퍼스 혁신파크 일대를 민간 친화적 스마트도시로 조성할 계획입니다. 인공지능 기반 자원순환 모델, 음성기반 노면분석, 탄소중립 자율주행 셔틀 등의 시민체감형 스마트서비스와 함께 디지털트윈 기반 가상실증공간(버추얼 스테이션)을 구축해 어반테크 기업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천안시의 계획은 단순히 기술을 도입하는 것을 넘어, 지역의 경제와 환경을 동시에 고려한 포괄적인 접근입니다. 이를 통해 천안시는 스마트 도시로서의 성장을 가속화하고, 더 나아가 다른 지역에 모범이 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할 것입니다.


광명: 탄소중립 스마트도시

광명시는 기후위기 대응형 스마트도시로 선정되어 3년간 국비 80억 원을 지원받습니다. 광명역세권지구 일원에 교통, 에너지, 재해·안전 스마트서비스를 데이터 기반으로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탄소중립 스마트도시를 조성할 계획입니다. 

광명시는 전기이륜차 배달문화 밸류체인과 기업대상 업무용 전기차 공유 등 친환경 교통수단으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상기후 대응을 위해 인공지능 분석을 통한 재해 예측, 탄소관리 플랫폼, 신재생에너지 가상 거래 서비스 등을 구현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노력들은 광명시를 보다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도시로 변화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태백: 스마트마이닝 혁신기술 기반 지역특화산업

태백시는 급격한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인한 지역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스마트마이닝 혁신기술을 기반으로 지역특화산업을 활성화할 계획입니다. 이번 사업을 통해 3년간 국비 80억 원을 지원받게 된 태백시는 장성광업소(제2갱도)를 스마트마이닝 실증공간으로 활용하여 무인트럭 운영, 블록체인 기반 자원이력시스템, 디지털 창작소 등을 구현할 예정입니다.

태백시는 이러한 혁신 기술을 통해 기업 유치와 인구 유입을 유도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태백은 지역 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강소도시로 거듭날 것입니다.


경산: 데이터 기반 첨단산업 활성화

경산시는 청년인구 감소로 인한 지역경제 쇠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경산 임당 유니콘파크, 청년지식놀이터 등 도시 인프라를 연계·활용하여 데이터 기반 첨단산업 활성화 도시를 조성할 계획입니다. 경산은 인공지능 모빌리티(Bike), 스마트미디어시티 아트 솔루션, 청년창업 스마트 플랫폼, 데이터 에코체인 플랫폼 등 청년과 시민이 참여하는 서비스를 구축하여 신사업 일자리 기반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경산시는 이러한 계획을 통해 청년층의 유입을 촉진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할 것입니다.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의 기대효과

국토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개발되는 솔루션을 오픈소스로 공개하고, 광역지자체에 구축 중인 데이터허브와 연계하여 스마트서비스를 더욱 빠르고 경제적으로 확산할 수 있는 플랫폼 도시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윤영중 국토부 도시경제과장은 “이번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공모에 많은 지자체와 기업들이 관심을 갖고 참여했으며, 지역적 특성에 적합하고 도시 운영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혁신적인 솔루션이 제시됐다”면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스마트서비스를 구축하고, 다른 지역에도 확산해 지속 가능한 도시로 함께 성장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은 각 지역의 특성과 필요에 맞춘 솔루션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도시를 만드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입니다. 선정된 지자체들이 추진할 스마트서비스는 각 지역의 경제 활성화와 환경 개선, 시민 삶의 질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은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지역 특성에 맞춘 포괄적인 도시 발전 전략입니다. 천안, 광명, 태백, 경산의 사례는 각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좋은 예시가 될 것입니다. 국토교통부의 이번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어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기를 기대하며,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스마트도시 조성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계속되기를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