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호우 위기경보 ‘주의’로 상향, 비상근무 돌입…국민행동요령은?

by woongyi 2024. 7. 12.
728x90
728x170
SMALL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단계 가동과 호우 위기경보 상향

행정안전부는 2024년 7월 8일 새벽 3시부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단계를 가동하고, 호우 위기경보 수준을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상향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충청권과 경북권 중심으로 호우 특보가 발효됨에 따라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취약지역 선제적 통제와 주민대피

기상청에 따르면 현재 충청권 남부와 경북 북부 지역에 시간당 30~50㎜의 매우 강한 비가 내리고 있으며, 중부지방에도 시간당 30㎜의 집중호우가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산사태, 하천 범람, 지하공간 침수 등의 위험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대비해 취약지역과 시설에 대한 선제적 통제와 주민대피가 철저히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주요 중점 관리사항

이상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번 호우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중점 관리사항을 당부했습니다:

1. 취약계층 보호: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과 노약자 등 취약계층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충분한 지원과 조력을 제공합니다.

2. 예찰 활동 강화: 비탈면, 저지대, 지하차도, 해안가 등 취약지역과 시설에 대한 예찰 활동을 강화하고, 위험 요소를 발견 즉시 조치하여 피해를 방지합니다.

3. 비상근무 태세 확립: 관계기관은 비상근무 태세를 확립하고 피해 최소화를 위해 지자체, 경찰, 소방 간 실시간 위험정보 공유 등 유기적인 협력을 강화합니다.

4. 추가 피해 예방: 화재 피해 시설이나 지진 발생 지역 등에서 호우나 강풍으로 인한 추가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 조치를 철저히 합니다.

국민행동요령

호우 및 태풍 대비 국민행동요령을 숙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실시간 상황 관리와 신속한 초기 대응이 가능해지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1. 기상정보 확인: 기상청의 기상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호우특보 발효 시 주의사항을 숙지합니다.

2. 안전한 장소로 이동: 저지대나 침수 위험이 있는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 안전한 장소로 대피합니다.

3. 침수 예방 조치: 가정 내 침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물막이판 설치, 배수구 청소 등의 조치를 취합니다.

4. 비상용품 준비: 정전이나 단수에 대비해 비상용품(식수, 식량, 손전등 등)을 준비합니다.

5. 차량 이동 자제: 집중호우 시 차량 운행을 자제하고, 침수 위험이 높은 도로는 피합니다.

6. 관계기관 지시 준수: 지자체와 관계기관의 대피 지시와 안내를 철저히 따릅니다.

정부의 대응과 협력

정부는 이번 호우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비상대응 태세를 확립하고, 지자체, 경찰, 소방 등 관계기관 간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 장관은 “피해 최소화를 위해서는 실시간 상황 관리와 신속한 초기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며 “지자체, 경찰, 소방 등 관계기관에서는 비상대응 태세를 확립하고, 위험징후 포착 즉시 즉각적인 초기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이번 호우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국민 모두가 안전 수칙을 준수하고, 관계기관의 지시를 철저히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행정안전부와 중대본은 실시간 상황 관리와 신속한 초기 대응을 통해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국민 여러분께서는 호우 대비 국민행동요령을 숙지하시고, 안전한 여름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LIST